급성감염병관리
법정감염병 분류 및 종류
유형 | 제1급감염병 (17종) | 제2급감염병 (20종) | 제3급감염병 (26종) | 제4급감염병 (23종) |
---|---|---|---|---|
특성 |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고 음압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|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 |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고 발생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는 감염병 | 제1급~제3급 감염병 외에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표본감시 활동이 필요한 감염병 |
종류 |
|
|
|
|
감시 | 전수 | 전수 | 전수 | 표본 |
신고 | 지체없이 | 24시간 이내 | 24시간 이내 | 7일 이내 |
표본감시 대상 감염병은 표본감시 의료기관에서만 환자발생 신고를 함.
신고시기
- 제1급감염병: 발생즉시 신고(질병관리본부장 또는 관할지역 보건소장에게 구두․전화 등의 방법으로 신고서 제출 전에 알려야 함(의료기관 관할 시군구 보건소장에게 구두․전화 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. 질병관리본부 고지시 긴급상황실 043-719-7878 연락)
- 제2급감염병~제3급감염병: 24시간 이내 신고
- 제4급감염병(표본감시): 7일 이내
벌칙 강화
법률 제11조관련 감염병 신고의무자의 보고․신고 의무 위반, 거짓 보고․신고 방해자에 대한 벌칙
- 법률 제11조관련 감염병 신고의무자의 보고․신고 의무 위반, 거짓 보고․신고 방해자에 대한 벌칙
- (제3, 4급감염병) 벌금 300만원 이하
신고의무자
- 감염병 환자를 진단한 의사, 한의사, 치과의사, 의료기관의 장
- 육군, 해군, 공군 소속 부대장(군의관)
- 감염병 병원체 확인기관의 장
- 그 밖의 신고의무자(홍역, 결핵, 콜레라, 파라티푸스, 세균성이질,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, A형간염)
- 세대주, 세대주 부재 시 세대원
- 학교, 병원, 관공서, 회사, 공연장, 예배장소, 선박·항공기·열차 등 운송수단, 각종 사무소·사업소, 음식점, 숙박업소 또는 그 밖에 여러 사람이 모이는 장소(약국, 사회복지시설, 산후조리원, 목욕장업소, 이용업소, 미용업소)의 관리인, 경영자 또는 대표자
신고방법
- 질병관리본부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(http://is.cdc.go.kr)
- 감염병 발생 신고서 작성 후 팩스 전송 ( FAX 동안 031-8045-6528, 만안 031-8045- 6527) 후 확인 전화 요망
감염병정보
질병관리본부 (http://www.cdc.go.kr)
해외여행 감염병 정보
해외여행 질병정보센터 (http://travelinfo.cdc.go.kr)
감영병 예방 개인위생 수칙
- 외출 후, 조리 전, 식사 전, 화장실 다녀온 후에는 30초 이상 비누로 흐르는 물에 올바른 방법으로 손을 씻는다.
- 기침이나 재채기할 때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 가리도록 한다.
- 씻지 않는 손으로 눈,코,입을 만지지 않는다.
-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를 착용한다.
-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고, 물은 끓여 마신다.
- 채소,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서 먹는다.
-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는다.
- 감염병 유행 시 여러 사람들과 식사하는 것을 가급적 피한다.
- 설사증상이 있으면 가급적 다른 지역으로 여행을 삼간다.